성찬 성례전 참여 방식의 다양성: 전통과 현대적 접근 비교
성찬 성례전의 다양한 참여 형태에 대해 논의한 글입니다. 성례전의 역사와 전통적인 방식, 현대 교회에서의 참여 방법을 비교하며, 개혁교회가 성찬 성례전에 대해 새로운 방식을 도입할 필요성에 대해 다룹니다.
성찬 성례전의 참여 형태는 한 가지 뿐인가요?!
우리의 땅에 복음을 심어준 선교사들을 통, 기존에 교회를 순회하면서 성례전을 거행하였다. 그래서 선교사와 순회가 있을 때에는 온통 잔치 분위기였다. 또한 그들의 가르침은 성경 다음으로 소중하게 받아 전수 해 왔다. 이러한 것은 교회의 전통이 되어 조금의 변화로도 시도하여 "신신학 또는 자유신학"이라는 이름과 함께 거부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우리와 다른 예배환경이 펼쳐지고 있다.
Q. 성찬 성례전에 회중은 앉아서 분병 분잔 위원들이 가져다 준 것을 받아먹는 방법이 모두인가요?
A. 우리는 성찬 성례전을 일년에 두 번 정도 행하고, 참여의 형태는 지금껏 성찬의 분병 분자 때 회중은 제자리에 앉아 있고 분병 분찬 위원들이 가져다주면 받아먹는 것만이 성경적인 진리라고 믿어오고 있다. 그리고 이것을 개혁교회의 진리하고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고정관념은 매우 편협된 것이고 예배 역사이 지식이 모자라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성례전에 성물을 받은 형태는 종교개혁자들의 의하여 세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는 쯔빙글리의 방법으로 앉아 있는 자리에서 가져다 준 떡과 잔을 받도록 하는 형태이고, 둘째는 칼빈의 형태로 침례교인 들은 모두 일어서서 경건히 받도록 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때로는 성찬대 앞으로 모두 나와서 무릎을 꿇고 받는 방법 등을 택하기도 하였다. 세 번째로 스코틀랜드 교회에서 긴 성찬 테이블이나 또는 찬양대 석에 사도의 숫자처럼 12명 씩 나와 앉아서 받도록 하는 방법을 택하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개혁자들에 따라 성찬성례전의 집례와 수찬의 형태는 다양하였다.
Q. 새로운 형태를 취하면 그것은 비성경적이고 교리에 어긋난 일인가요?
A. 성찬 성례전의 역사를 이해하다면 이제는 우리도 앉아서 가져다주는 것을 받는 형태만 고집할 것이 아니라, 현대의 많은 개혁교회들이 사도와 것처럼 좀 더 다양하게 성찬성례전에 참여하는 형태를 갖추어 볼 필요가 있다. 좀더 신선하고 성스러운 성례전을 가져야 함을 그토록 강조했던 칼빈이나 낙스의 가르침도 예배의 현장에 도입할 필요가 있다.
Q. 동남교회나 천주교회를 비롯하여 성공회와 루터교에서는 회중들이 나아가서 무릎을 꿇거나 서서 정중하게 두 손으로 받는데 개신교는 그렇게 하면 안되는가요?
A. 최근 한국에서도 예식서에서 자주 성례전을 갖도록 제시하면서 그 집례와 수찬의 형태를 다양화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정장복 교수는 이러한 형태를 우리의 교회도 성숙하여 그만큼 발길을 내딛는다고 말하고. 여기에 호흡을 함께 하는 신선한 방법의 시도가 마땅히 있어야한다고 그는 말하였다.
침신대 교수 도한호 교수는 마태복음 26장 28절 말씀을은성찬식이 사죄를 보증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만찬의 포도주가 "죄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나(예수)의 피"를 성장한다는 의미이며: 요한복음 6장 51절~58절은 49절의 "만나"와 비교되어서 "하늘로서 내려오는 떡", 곧 "산 떡"이신 예수 그리스도 자신을 의미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한다.
성찬이나 성례전의 사효성에 의한 개인의 믿음에 상관없이 참여하는 이에게 영생을 얻기 위한 공적을 쌓아 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없다고 보고 이로 미루어 성찬 성례전은 주님을 기억하고 기념하기 위한 하나의 의식이지 구원의 요소 될 수 없다. 그러므로 그 형태는 더 성스럽게 주님의 희생을 재현하고 거기에 깊이 참여하는 형태가 될 것인지를 생각해 여러 방법을 모색해도 무방하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 정장복. [그것은 이것이다], (서울: 예배와 아카데미, 1999), pp.92-94.
- 도한호. "개신교 예배의 위기", [복음과 실천], 제14집(1991), pp. 86-87.
'책을 읽다 > 그것은 이것입니다-정장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찬성례전 후 남은 성물의 처리 방식: 개혁교회와 가톨릭의 신학적 차이 (0) | 2024.11.26 |
---|---|
성찬 성례전 예전에서 주님이 잡시시던 밤이 맞는가? (6) | 2024.11.10 |
장로교 성찬식의 순서와 칼빈 전통에 따른 예배 절차 (3) | 2024.11.09 |
한국 교회 예식에서 흰 장갑 착용의 기원과 의미 (4) | 2024.11.08 |
목사가 세례를 다시 받아야 하나요? 세례와 침례의 차이 (3) | 2024.10.25 |
침례는 어느 예배에서도 가능한가? 성경적 관점에서 본 침례의 중요성과 실천 방법 (0) | 2024.10.24 |
성찬 성례전: 그 의미와 횟수에 대한 바른 이해 (0) | 2024.09.20 |
열린예배의 정의와 청소년을 위한 새로운 예배 접근 (5) | 2024.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