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의미- [죽음의 수용소에서]


죽음의 수용소에서
국내도서
저자 : 이시형,빅터 프랭클(VIKTOR E. FRANKL)
출판 : 청아출판사 2005.08.10
상세보기


이런 궁극적인 의미는 인간이 지닌 지적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다. 로고테라피에서는 이것을 초의미(super meaning)라고 부른다.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실존철학자들이 가르친 대로 삶의 무의미함을 참고 견디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지닌 절대적인 의미를 합리적으로 터득하지 못하는 자신의 무능함을 인정하는 것이다. 로고스는 논리보다 심오하다.

초의미의 개념을 잘 알지 못하는 정신의학자는 머지않아 환자들로부터 당혹스러운 질문을 받게 될 것이다. 내가 여섯 살짜리 딸에게 받았던 질문처럼.


“아빠, 왜 우리는 ‘선하신’ 하나님이라고 하지요?”
딸아이의 질문에 나는 이렇게 대답했다.

“얘야, 몇 주일 전에 네가 홍역에 걸려 고생하고 있었지. 그런데 그때 ‘선하신’ 하나님께서 너를 낫게 해주셨잖니?”

하지만 꼬마는 수긍할 수 없었던 모양인지 다음과 같이 반박했다.

“하지만 아빠. 이걸 잊지 마세요. 처음에 홍역에 걸리게 한 것은 바로 하나님이에요.”



하지만 환자가 종교적으로 깊은 신앙심을 갖고 있을 경우, 그 종교적 신념을 바탕으로 치료효과를 높이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가 가지고 있는 영적인 자원을 끌어내는 것을 굳이 반대할 이유는 없을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정신학자는 자기 자신을 환자의 입장에 놓아야 한다.


동유럽 출신의 랍비 한 사람이 나를 찾아와서 자기 얘기를 들려 주었을 때, 나는 바로 이런 태도를 취했었다. 그의 첫 번째 아내와 아이 여섯 명은 아우슈비츠의 강제수용소에서 가스실로 보내졌고, 그 후 두 번째 아내를 얻었는데, 이번에는 그녀가 아이를 낳지 못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는 것이다. 나는 아이를 낳는 것이 삶의 유일한 의미가 아니라고 말했다. 왜냐하면 그렇게 되면 삶 그 자체는 의미 없는 것이 되고, 그 자체가 의미 없는 것은 그것이 영원히 지속된다는 사실만으로 의미를 갖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랍비는 정통 유대교도로서 자기가 죽은 후에 자기를 위해 카디쉬(죽은 사람을 위한 기도)를 올려줄 자식이 없다는 절망적인 시각으로 자기 고통을 평가했다.


하지만 나는 포기하지 않았다. 나는 그를 돕기 위한 마지막 시도로 그에게 죽은 후 하늘나라에서 아이들을 다시 보고 싶지 않느냐는 질문을 던졌다. 그런데 그 말을 듣자마자 그가 울음을 터뜨렸다. 그리고 그가 절망하는 이유의 실체가 드러났다. 그는 자기 아이들은 죄없이 순진무구한 상태에서 순교1)했기 때문에 하늘 나라에서 가장 높은 자리에 있을 것이 분명하지만, 자기는 늙고 죄가 많아서 아이들이 있는 곳에 갈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다는 말을 했다.


하지만 나는 이에 포기하지 않고 반론을 제기했다.

“랍비님, 바로 그 때문에 선생이 아이들보다 오래 살아남았다고 생각할 수는 없습니까? 시련을 겪으면서 선생의 영혼은 깨끗하게 되었습니다. 비록 선생의 아이들만큼 깨끗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하늘나라에서 아이들과 같은 곳에 있게 될 정도는 되지 않았을까요? ‘너희가 흘린 눈물을 내가 다 알고 있노라’고 시편에도 쓰여있지 않습니까?2) 따라서 선생이 겪은 시련이 결코 헛된 것이 아닐 겁니다.”


실로 몇 년 만에 처음으로 그는 내가 열어준 새로운 시각을 통해 고통으로부터 안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죽음의 수용소에서]


1) L’Kiddush basbem ; 신의 이름으로 신성하게 되었기 때문이라는 말이다.

2) 내 마음이 몇 번이나 흔들렸는지 주게서 다 아시니 내 눈물을 주의 병에 담으소서. 이것이 주의 책에 기록되지 아니 하였나이까. - 시편 56장 8절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