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성장학

2009. 5. 30. 02:08


교회 성장학

 

1. 교회 성장학의 정의와 학문성

   - 정의: 교회성장에 관한 또한 그에 관련된 사항에 대한 성경적 원리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 학문성: 교회성장학에 대한 성경적 이해, 학문적 체계가 초기에는 없었다. 1970년 미국에서부터 교회성장이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매김 하면서 정립되었다(과거에는 실천힌학의 한 분야). 맥가브란의 “교회성장이해”가 교회성장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2. 교회성장학에 있어 Donald A. Mcgabran의 위치와 역할

   ① 저서 “Bridge of God"(1955)은 교회 성장학의 이정표를 세움(본 책자는 자신이 인도 선교사로 있으면서 교회성장에 대해 체험하고 깨달은 원리들을 발표한 것임).

   ② 선교대학원의 설립의 꿈을 갖고 1960년도에 Northwest Christian College에 교회성장연구소 설치.

   ③ 1965년 Fuller 신학교 초대원장으로 부임하고 그 이후부터 교회성장학은 세계적으로 확산 됨.

   ④ 1970년대 교회성장에 대한 최초의 학문적 연구인 “교회성장이해”의 저서로 인해 교회성장이 주목을 받음.

   - 이러한 결과로 교회성장은 한층 더 활발하게 촉진제 역할을 했으며 그래서 교회성장의 아버지로 부르고 있다. 이러한 맥가브란의 노력은 전세계 교회들의 성장에 긍정적 결과를 주었다.

 

3. People Movement의 원리

   1) 단계: 복음의 개방된 사람을 찾는다. 예) 전쟁 후, 기근, 고난 중인 사람들이 복음에 더 개방적이다.

   2) 단계: 복음에 개방된 자에게 우선적으로 전한다.

   3) 단계: 가족 단위로 복음전파를 시작한다.

   4) 단계: 지체하지 않고 침례를 준다.

   5) 단계: 즉시로 양육단계로 들어간다.

   6) 단계: 큰 단위로 성장을 기대한다.

 

- 이점: 다수의 사람들이 교회에 흡수됨으로 독립교회를 이룰 수 있다. 교회성장의 커다란 가능성을 가진다.

 

4. Harvest Principle(추수원리)

    - “희어져 추수하게 되었다”(요 4:35)는 말씀과 농부들의 추수원리에서 기인됨.

    - 영적 토양을 잘 고려하여 추자해야 한다(토양 파악이 중요). 복음이 받아들일 준비가 안되었다면 타지역에 가서 복음을 전함.

   - “복음에 대한 문이 열려 있는가?”를 점검할 때의 3가지 기준이 있다.

   ① 교회가 이미 성장하고 있으며 사람들이 복음에 대하여 개방적일 경우.

   ② 사람들이 사회, 정치, 경제적으로 어렵고 전쟁, 기근, 재난, 불황 등일 경우.

   ③ 높은 사람 계층 보다 평민들이 더 복음에 개방적.

   * 그러나 복음이 열려 있는 곳은 “배척”세력도 있다.

 

5. 교회성장을 위한 목회자의 역할

   - 교회성장에서 제 1차 촉매요소는 목회자이다. 그러므로 목회자 역할은 결정적이다.

   - 침체된 교회가 새로운 목회자를 청빙하여 성장의 발판을 마련했던 경우를 보더라도 목회자의 역할은 중요하다.

   - 그러므로 목회자의 역할은 꿈이 있어야 하고, 미래지향적인 추진력이 있어야 하고, 사역의 위임과 분담을 하고, 청지기직의 개발이 있어야 한다.

 

'기독교 자료 > 실천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교학  (0) 2009.05.30
목회 상담학  (0) 2009.05.30
설교신학  (0) 2009.05.30

+ Recent posts